디젤 동력분산식 열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MU)는 각 차량에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동력을 분산하는 열차로,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다양한 종류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다. 3등 디젤 동차, 디젤 액압 동차, 우등형 디젤 동차 등이 있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해 도입된 DHC(디젤 유압 차)는 새마을호 열차로 운행되기도 했다. DMU는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디젤-기계식, 디젤-유압식, 디젤-전기식으로, 기관 및 연료 종류에 따라 증기 동차, 가솔린 동차, 디젤 동차 등으로 분류된다. 세계 각국에서 DMU는 지역 및 광역 서비스, 통근 및 급행 서비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운전 방식은 단단식, 양운전대식, 고정편성/총괄제어 방식으로 나뉜다. 2000년대 이후에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적용한 DMU가 개발되고 있으며, 레일 버스와 같은 특수 설계도 존재한다. DMU는 전력 설비가 필요 없어 수송량이 적은 노선에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이지만, 운전 면허, 자동 열차 보호 장치 호환성 문제 등으로 인해 운용에 제약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차 -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는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운행되었던 디젤 동차로, 커민스 엔진, 액압식 구동 방식, 보조 동력 장치 등을 갖추고 1984년부터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었으나 2010년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현재 한국철도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 동차 -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는 1996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된 디젤 동차로, 다양한 노선의 통근열차와 관광열차로 활용되었으나, 중량 증가 및 제동 성능 저하 문제와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인해 퇴역하였다. - 철도차량공학 - 자동 열차 운전 장치
자동 열차 운전 장치는 열차 운행을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국제 표준에 따라 자동화 수준이 GoA0(수동 운전)부터 GoA4(무인 운전)까지 분류되며, 안전성 및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지만 오류 및 인적 실수 가능성도 존재하여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 철도차량공학 - 가공 전차선
가공 전차선은 전기 철도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부 전선 시스템으로, 트롤리선, 조가선, 행어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가선 방식과 장력 조절 장치가 존재하고 외부 요인에 의한 고장 위험과 시각 공해 등의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 |
---|
2. 대한민국의 내연 동차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다양한 종류의 내연 동차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다. 과거 게하형 가솔린 동차,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를 제외한 모든 내연 동차는 디젤 동력분산식이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해 처음 도입된 DHC(디젤 유압 차)는 최대 150km/h의 속도를 낼 수 있었으며, 새마을호 열차로 운행되었다. 이 열차는 2008년에 퇴역했다.
2. 1. 과거 운행 차종
대한민국에서는 전 차량이 퇴역하였다. 과거에 운행했던 종류로는 게하형 가솔린 동차,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 3등 디젤 동차, 디젤 액압 동차, 협궤 디젤 액압 동차, 우등형 디젤 동차,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RDC, CDC 등이 있었다. 이 중 게하형 가솔린 동차,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iesel multiple unit영어)이었다.종류 | 제조사 | 사용 기간 | 생산량 | 잔존량 |
---|---|---|---|---|
3등 디젤동차 | 경성공장 | 1933~1963 | 2 | 0 |
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 니가타 철공소, 긴키차량, 일본차량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 1961~1996 | 159 | 0 |
디젤 액압 동차 부수차 | 한국철도공사 인천공착장 | 1965~1998 | 33 | 0 |
협궤 디젤 액압 동차 | 니가타 트랜시스, 인천공착장 | 1965~1995 | 6 | 0 |
우등형 디젤 동차 | 대우중공업 | 1979~1999 | 10 | 0 |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 |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 1986~2013 | 383 | 0 |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 대우중공업 | 1984~2015 | 36 | 0 |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 대우중공업 | 1996~2023 | 131 | 0 |
무궁화호 개조형 디젤 액압 동차 | 세근실업, 우진산전, 로윈 | 2008~2023 | 100 | 0 |
한국철도공사는 과거에 많은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DMU)를 운행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해 처음 도입된 DHC(디젤 유압 차)는 최대 150km/h의 속도를 낼 수 있었으며, 새마을호 열차로 운행되었다.
2. 2. 대한민국 디젤동차 현황 (퇴역)
대한민국에서는 모든 디젤동차가 퇴역하였다. 과거에 운행했던 종류로는 게하형 가솔린 동차,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였다.종류 | 제조사 | 사용 기간 | 생산량 | 잔존량 |
---|---|---|---|---|
3등 디젤 동차 | 경성공장 | 1933~1963 | 2 | 0 |
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 니가타 철공소, 긴키 차량, 닛폰차량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 1961~1996 | 159 | 0 |
디젤 액압 동차 부수차 | 한국철도공사 인천공착장 | 1965~1998 | 33 | 0 |
협궤 디젤 액압 동차 | 니가타 트랜시스, 인천공착장 | 1965~1995 | 6 | 0 |
우등형 디젤 동차 | 대우중공업 (-> 현대로템) | 1979~1999 | 10 | 0 |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 |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 현대로템) | 1986~2013 | 383 | 0 |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 대우중공업 (-> 현대로템) | 1984~2015 | 36 | 0 |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 대우중공업 | 1996~2023 | 131 | 0 |
무궁화호 개조형 디젤 액압 동차 | 세근실업, 우진산전, 로윈 | 2008~2023 | 100 | 0 |
3. 내연 동차의 종류 (해외 사례)
디젤 엔진은 엔진실의 프레임 위나 바닥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운전 제어 장치는 양쪽 끝, 한쪽 끝 또는 별도의
3. 1. 동력 전달 방식에 따른 분류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는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디젤-전기 변속기를 사용하는 일부 DMU는 전동차와 유사하며, 팬터그래프나 집전 장치 대신 하나 이상의 온보드 디젤 발전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DEMU는 전기-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EDMU)로 업그레이드하여 바이모드 동력 분산식 열차(BMU)가 될 수 있다.
일본에서는 1930년대와 1950년대에 디젤-전기 방식이 일부 채택되었으나, 이후 액체식이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전력 전자 기술 발전으로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여, 시리즈식 하이브리드 기동차나 EDC 방식으로 부활했다. 2019년에는 GV-E400계[59]가 영업 운전을 시작하면서, 순수 디젤-전기 방식의 전기식 기동차가 약 반세기 만에 부활하였다. JR 홋카이도에서도 H100형[60]을 도입하여 기존 액체식 기동차를 대체하고 있다.[61] JR 서일본은 DEC700형을 개발 중이다.[62] 한편, JR 시코쿠는 2700계에서 액체식을 계속 채용하고 있지만, 2025년까지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기식 기동차를 개발할 계획이다.
3. 2. 기관 및 연료의 종류에 따른 분류
대한민국에서는 전 차량이 퇴역하였다. 과거에 운행했던 종류로는 게하형 가솔린 동차,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 3등 디젤 동차, 디젤 액압 동차, 협궤 디젤 액압 동차, 우등형 디젤 동차,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RDC, CDC 등이 있었다. 이 중 게하형 가솔린 동차,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iesel multiple unit|디젤 멀티플 유닛영어)였다.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동력분산식 철도 차량으로 분류된다. 차량 한 량마다 증기 또는 내연 기관을 탑재하여 단독 또는 여러 량의 차량으로 운행된다. 여러 량의 차량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과거에는 동력차 한 량마다 운전수가 탑승하여 각 차량을 조작했지만, 현재는 선두 차량의 운전대에서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총괄 제어 방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동력원으로 증기 기관을 사용한 기동차를 증기동차라고 부른다. 증기동차는 증기 기관차와 마찬가지로 연료로 석탄을 사용했으며, 운전자 외에 기관 조수의 승무에 의한 투탄 작업을 필요로 했다.
세계 최초의 증기동차는 이스턴 카운티 철도의 기관사였던 제임스 사무엘에 의해 설계되어, 1847년에 윌리엄 브리지스 아담스에 의해 제조되었으며, 1847년 10월 23일에 쇼디치와 케임브리지 사이에서 시운전되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말기부터 전후 얼마 안 되는 시기까지 증기동차가 사용되었다. 당초에는 단순히 "자동차", "기동차"라고 불렸으며, 내연 기관을 탑재한 동차가 등장하면서 "증기동차"라고 불리게 되었다.[53]
가솔린 동차, 디젤 동차, 천연가스 동차, 가스 발생로 탑재 동차(발생로 가스 동차), 가스터빈 동차 등 내연 기관을 탑재한 기동차를 내연 동차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외에 동력을 가지지 않는 기동차로 부수차(기동 부수차)와 제어차(기동 제어차)가 있으며, 동력을 가진 기동차와 함께 사용된다.
다이쇼 시대부터 1950년대까지는 연료로 가솔린을 사용한 가솔린 엔진을 동력으로 하는 "'''가솔린 동차'''"(가솔린 카라고도 함)가 존재했으며, 취급의 간편함으로 인해 특히 1930년대에 널리 사용되었다. 1940년의 니시나리선 열차 탈선 화재 사고와 그 후 디젤 엔진 기술의 개량을 계기로, 안전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가솔린 동차는 종전 직후부터 교체가 진행되었으며, 일본에서는 1969년 반다이 급행 전기철도 폐지와 함께 영업용 차량이 전폐되었다.
디젤 동차(디젤카)는 열기관에 디젤 엔진을 탑재한 기동차이다. 연료는 현대의 디젤 동차에서는 경유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부 철도 회사에서 바이오 디젤 연료가 시험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일본에서의 기동차용 디젤 기관은 4행정식이 주류이며, 과거 사철에서의 소수의 예외[54]를 제외하고, 2행정식의 채용 예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55]
현재 영업 운행에 제공되는 일본의 기동차는 차체 바닥 대차 사이에 기관을 탑재하고 있다. 과거에도 기관의 탑재 장소는 바닥이 주류였지만, 초기에는 단단식 기동차와 같이 자동차를 따라 차량 단부에 기관을 탑재한 차량도 많았고, 차체 내 바닥 위에 탑재한 차량(키하니36450형)이나 대차에 탑재한 차량(나가토 철도 키코하10 등)도 소수나마 존재했다. 사할린 철도를 위해 일본에서 제조된 차량도 엄동기의 유지 보수성의 관점에서 차체 내에 기관을 탑재하고 있다.
전쟁의 영향으로 인한 석유 부족으로 석유 연료에 통제가 가해졌던 1940년대에는 가솔린 기관을 (종전 후에는 디젤 기관도) 개조하여 목탄 가스나 천연 가스를 연료로 사용한 사례도 있다.
가스 발생로 탑재 동차(발생로 가스 동차)는 차재 가스 발생로에서 고체 연료를 불완전 연소시켜 발생한 합성 가스[56]를 연료로 주행하는 내연 동차이다. 대용 연료차(대연차)[57]의 대표적인 존재이며, 가스 발생로 탑재 동차만을 가리켜 대용 연료차(대연차)라고 부르기도 한다. 목탄 자동차의 기동차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가스터빈 엔진을 탑재한 "'''가스터빈 동차'''"(일명 "터보 트레인")도 연구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미국, 캐나다, 프랑스, 혁명 전 이란 (프랑스에서 수입) 등에서 실용화되었지만, 일본에서는 연비 악화와 높은 소음, 잦은 고장이 문제시되었고, 오일 쇼크도 겹쳐 키하07 901, 키하391-1의 2량이 시범 제작되었을 뿐, 실용화되지 못했다.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는 마이크로 가스터빈을 사용한 신세대 가스터빈-전기식 기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4. 세계 각국의 내연 동차 현황
세계 각국에서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는 다양한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 벨기에, 크로아티아, 에스토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를 운용하고 있다. 특히 크로아티아에서는 주요 도시 간 연결에 틸팅 열차가 활용되고 있으며, 에스토니아에서는 슈타들러 플리트 열차가 운행 중이다.
북미 지역에서는 캐나다가 미국과 유사한 철도 규정을 따르면서도 개별적인 평가를 통해 경량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를 도입하고 있다. 오-트레인, 비아 레일, 샤를부아 관광 열차 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코스타리카와 멕시코에서도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통근 및 광역 교통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연방 철도청(FRA) 규정으로 인해 유럽형 경량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 도입이 제한적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FRA 규정을 준수하거나 예외를 적용받아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케냐, 말레이시아, 필리핀, 중국, 스리랑카, 대만, 태국 등 여러 국가에서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활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1950년대부터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운행되어 왔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새마을호 등 다양한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가 운행되었지만,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다.
과거 한국에서 운행했던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는 다음과 같다.
종류 | 제조사 | 사용 기간 | 생산량 | 잔존량 |
---|---|---|---|---|
3등 디젤 동차 | 경성공장 | 1933~1963 | 2 | 0 |
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 니가타 철공소, 긴키차량, 일본차량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 1961~1996 | 159 | 0 |
디젤 액압 동차 부수차 | 한국철도공사 인천공착장 | 1965~1998 | 33 | 0 |
협궤 디젤 액압 동차 | 니가타 트렌시스, 인천공착장 | 1965~1995 | 6 | 0 |
우등형 디젤 동차 | 대우중공업(->현대로템) | 1979~1999 | 10 | 0 |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 |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현대로템) | 1986~2013 | 383 | 0 |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 대우중공업(->현대로템) | 1984~2015 | 36 | 0 |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 대우중공업 | 1996~2023 | 131 | 0 |
무궁화호 개조형 디젤 액압 동차 | 세근실업, 우진산전, 로윈 | 2008~2023 | 100 | 0 |
4. 1. 유럽
유럽에서는 여러 국가가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를 운용하고 있다.- '''벨기에'''에서는 전철화되지 않은 노선에서 NMBS/SNCB 41형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운행 중이나, 전철화가 진행됨에 따라 중요성이 줄어들고 있다.
- '''크로아티아'''에서는 HŽ 푸트니치 프리예보즈가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를 지역, 광역, 장거리 노선에 투입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자그레브와 스플리트 간에는 2004년부터 틸팅 열차인 레지오스윙어(크로아티아 7123 계열)가 운행되고 있다.

- '''에스토니아'''에서는 엘론(Elron)이 2015년부터 20량의 슈타들러 플리트(Stadler FLIRT)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EMU)를 운행하고 있다.
- '''독일'''에서는 통근 및 급행 서비스에 오랫동안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MU)를 사용해 왔다. 1933년 플리겐더 함부르거(Fliegender Hamburger)는 베를린-함부르크 간 고속 운행을 달성했고, SVT 137형은 1936년 육상 속도 기록을 세웠다. 현재는 DB 612형 틸팅 열차, 알스톰 코라디아 LINT, 지멘스 데지리오, 봄바디어 탈렌트 등이 운행 중이다.
- '''그리스'''에는 디오코프토-칼라브리타 철도가 있다.
- '''아일랜드'''에서는 1945년부터 1986년까지 공화국의 철도를 관리했던 코라스 임페이르 에이렌 (CIÉ)이 1950년대 중반에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DMU)를 도입했으며, 이는 많은 간선 노선에서 최초의 디젤 열차였다.[3]
- '''루마니아'''에서는 CFR이 77형 및 78형 DMU와 지멘스 데시로(96형)를 외딴 지역 노선에 투입하고 있다.
- -|]]|thumb|루마니아 77형 Malaxa DMU, 2006년 캠풀룽 몰도베네스크에서 운행 중]]
- '''슬로바키아'''에서는 체코 철도 810형 기반의 ZSSK 812형이 비전철 지역 철도 노선에서 주로 운행된다. 과거에는 급행 열차도 동차로 운행되었으며, M262 또는 M286 시리즈 동차가 대표적이었다.
- -|]]|thumb|ZSSK 813형]]
- '''영국'''에서는 1934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가 디젤-기계식 GWR 철도 차량을 도입하면서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MU)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영국 철도(BR)는 1950년대에 DMU를 대규모로 도입했으며, 1980년대에는 "스프린터화" 프로그램을 통해 1세대 DMU를 140~144형 ''페이서'', ''스프린터'' 계열, ''네트워커'' 계열로 교체했다. 민영화 이후에는 봄바디어 터보스타, 알스톰 코라디아, 지멘스 데지리오 등 다양한 DMU가 도입되었다. 2018년에는 최초의 전기-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가 도입되었다.
- -|]]|thumb|right|이스트 미들랜즈 기차 222형 (런던 세인트 판크라스)
- -|]]|thumb|센트럴 트레인스 170형 (피터버러 역)
- -|]]|thumb|북아일랜드 철도 C3K (요크게이트 역)
4. 2. 북미
캐나다는 일반적으로 미국과 유사한 완충력 요구 사항을 따르지만,[19] 새로운 서비스는 개별적으로 평가된다. 그 결과, 여러 종류의 경량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사용되었다.- 오-트레인 Trillium Line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타와에서 캐나다 교통부와의 특정 안전 협정에 따라 기존 철도 선로에서 유럽 표준 알스톰 코라디아 LINT(이전 봄바디어 탈렌트)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를 사용한다.
- 비아 레일은 버드 레일 디젤 차량을 서드베리 – 화이트 리버 열차에서 운행한다.
- 레조 샤를부아(르 마시프)는 퀘벡주 샤를부아 지역에서 구 도이치반 DB 628형 열차를 사용하여 셔틀을 운행한다.
- 캐나다 국립 철도는 밴쿠버에서 북동쪽으로 떨어진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릴루엣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다시 사이의 세톤 호수 인디언 밴드와의 협력으로 맞춤형으로 제작된 소형 카오함 셔틀을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세톤 포티지를 경유하여 운행한다.[20]
- 유니언 피어슨 익스프레스는 유니언역과 피어슨 공항 간의 급행 서비스에 일본 차량 DMU 열차를 사용한다.

코스타리카는 스페인의 좁은 궤도 운영사에서 여러 대의 아폴로 2400 시리즈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를 구입하여 통근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21]
마야 열차를 위해 42개의 X'Trapolis Tsíimin K'áak 열차 세트가 주문되었으며, 이 중 10개는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DMU)이고 32개는 전기 동력 분산식 열차(EDMU)이다.[22]

미국에서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의 한 종류는 버드 레일 디젤 자동차(RDC, Budd Rail Diesel Car)였다. RDC는 두 개의 디젤 엔진과 두 세트의 제어 장치를 갖춘 단일 객차였다.[23]
미국에서는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 시스템이 화물 철도 회랑에서 운행하려면 연방 철도청(FRA)의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연방 철도청(FRA)은 유럽 규제 기관보다 더 높은 커플러(철도)(결합기) 강도 요건을 요구하여, 화물 운송과의 시간 공유나 FRA의 특별 면제를 받지 않고서는 유럽 스타일의 경량 도시 간 철도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를 미국의 간선 철도에서 사용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고 있다. 다른 어떤 나라도 훨씬 더 무거운 FRA 규정 차량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에 대한 수출 시장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는 미국 내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의 개발을 크게 제한해 왔다.[24]

FRA 규정 차량을 사용하는 운행:
- 2009년 2월부터 트라이메트(TriMet)는 출퇴근 시간대 WES 통근 철도(WES Commuter Rail) 운행을 위해 FRA 규정을 준수하는 콜로라도 레일카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Colorado Railcar DMU)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오리건주 비버튼(Beaverton)과 윌슨빌(Wilsonville) 사이의 교외 노선이다.
- 소노마-마린 지역 철도(Sonoma–Marin Area Rail Transit)(SMART)는 캘리포니아주 래크스퍼와 산타로사 사이 노선에서 니폰 샤료(Nippon Sharyo)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토론토와 동일)를 운행하고 있다. 2017년에 운행을 시작했다.
FRA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차량을 사용하는 운행:
- 캐피털 메트로(Capital Metro)는 텍사스주 오스틴 광역(Greater Austin) 지역을 운행하는 통근 철도 노선인 캐피털 메트로레일(Capital MetroRail)을 운행하기 위해 스타들러 GTW(Stadler GTW) 차량을 사용한다.
- 텍사스주 덴턴 카운티(Denton County)에서도 DCTA는 A-train (덴턴 카운티)(A-train)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스타들러 GTW(Stadler GTW) 차량을 사용한다. DCTA는 활성 화물 회랑에서 이러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한 최초의 대체 차량 기술 면제를 FRA로부터 확보했다.[25]

- 텍사스주 타란트 카운티(Tarrant County)의 TEX레일(TEXRail)은 트리니티 메트로(Trinity Metro)가 운영하는 통근 철도 노선으로, 스타들러 플리트(Stadler FLIRT)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를 사용한다. 이 차량은 FRA 대체 규정을 준수한다.[26] 이 노선은 DFW 공항/터미널 B 역(DFW Airport)과 T&P 역(T&P Station)을 종착역으로 하는 9개의 정차역을 가지고 있다.[27]
- NJ 트랜짓(NJ Transit)은 뉴저지주 캠던(Camden)에서 트렌턴(Trenton)까지 리버 라인(River Line)을 운행하며, 출퇴근 시간에는 15분 간격, 기타 시간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이 노선은 1~2량의 개조된 스타들러 GTW(Stadler GTW) 열차를 사용한다.
- 노스 카운티 교통 지구(North County Transit District)(NCTD)는 지멘스 데시로(Siemens Desiro)가 제작한 지멘스 데시로 클래식(Desiro Classic)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를 사용하여 스프린터(철도 서비스)(Sprinter) 노선을 운행한다. 2008년 3월에 개통되었으며, 이 노선은 캘리포니아주 오션사이드(Oceanside)에서 샌디에이고(San Diego)까지 코스터(철도 서비스)(Coaster) 통근 철도 서비스로 환승할 수 있는 곳과 캘리포니아주 에스콘디도(Escondido)까지 운행한다.
- 베이 지역 급행 교통(BART) 시스템의 eBART 확장은 피츠버그/베이 포인트 역(Pittsburg/Bay Point station)에서 고속도로 4번 회랑을 따라 앤티오크 역(BART)(Antioch station) 타운까지 스타들러 GTW(Stadler GTW)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 서비스를 구현한다. 향후 이 방향으로의 확장은 또한 eBART 서비스를 오클리, 브렌트우드, 바이런을 거쳐 트레이시와 스톡턴까지 연결할 수 있다. 이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 시스템은 기존의 제3 레일 BART 설계보다 비용이 저렴한 대안으로 선택되었다.[28] 서비스는 2018년 5월 25일에 시작되었다.[29]
- 애로우(철도 서비스)(Arrow)는 캘리포니아주 레드랜즈(Redlands)의 서비스 노선을 따라 스타들러 플리트(Stadler FLIRT) 열차 세트를 활용한다.
제안된 운행:
-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광역 교통국(Los Angeles County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은 2006년 7월 5일(메트로 이사회 멤버 아라 나자리안) "지역의 미래 교통 옵션"을 위한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의 타당성 연구에 25만달러를 할당하는 것을 승인했다.[30]
- 시카고(Chicago)의 통근 철도 노선인 메트라(Metra)는 새로 제안된 노선(교외 교통 접근 경로(STAR 라인), 동남 서비스(SES))에서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 사용을 연구하고 있다.
- 시애틀 지역 – 센트럴 퓨젯 사운드(Central Puget Sound)의 지역 교통 기관인 사운드 트랜짓(Sound Transit)은 퓨젯 사운드 지역 위원회(Puget Sound Regional Council)와 함께 주 입법 요청에 따라 이스트사이드 BNSF 회랑에서 운행하기 위한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 및 디젤 기관차 기술의 타당성을 평가했다.
- 앵커리지 매트-수 지역 – 미 국립 산림청(USFS)과 ARRC 추가치 포리스트 휘슬 스톱(Chugach Forest Whistle Stop)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09년 봄 자가 추진 철도 차량이 구매되어 배송되었다. 이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DMU)는 겨울철에 유연한 시범 운행에 활용될 수 있다.[33]
- 롱아일랜드 철도(Long Island Rail Road)는 미국에서 가장 붐비는 통근 철도로, 현재의 C3(철도 차량)(C3) 2층 객차를 DE30AC/DM30AC 기관차가 끄는 운행이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비전철 구역의 일부 노선(몬탁 지선(Montauk), 그린포트 지선(Greenport), 포트 제퍼슨 지선(Port Jefferson), 오이스터 베이 지선(Oyster Bay))에서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를 운행하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 보스턴의 페어마운트 라인(Fairmount Line)에서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를 사용하자는 제안이 처음에는 승인되었지만, 2016년에 취소되었다.[34]
- NJ 트랜짓(NJ Transit)의 패세익-버겐-허드슨 교통 프로젝트(Passaic–Bergen–Hudson Transit Project)는 신규 건설된 FRA 규정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를 사용하여 뉴욕, 서스케하나 및 웨스턴 철도(NYSW)의 일부 구간(뉴저지주 패세익 카운티(Passiac), 버겐 카운티(Bergen) 및 허드슨 카운티(Hudson))에서 여객 서비스 재도입을 연구하고 있다.[35]
- 댈러스 지역 급행 교통(Dallas Area Rapid Transit)은 세인트루이스 남서부 철도(St. Louis Southwestern Railway)를 실버 라인(DART)(Silver Line)으로 재건축하고 있으며, 스타들러 플리트(Stadler FLIRT) 차량을 사용할 것이다.
4. 3. 아시아/오세아니아
대한민국에서는 과거에 운행했던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모두 퇴역하였다. 과거 운행 차종은 다음과 같다.종류 | 제조사 | 사용 기간 | 생산량 | 잔존량 |
---|---|---|---|---|
3등 디젤동차 | 경성공장 | 1933~1963 | 2 | 0 |
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 니가타 철공소, 긴키차량, 일본차량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 1961~1996 | 159 | 0 |
디젤 액압 동차 부수차 | 한국철도공사 인천공착장 | 1965~1998 | 33 | 0 |
협궤 디젤 액압 동차 | 니가타 트렌시스, 인천공착장 | 1965~1995 | 6 | 0 |
우등형 디젤 동차 | 대우중공업(->현대로템) | 1979~1999 | 10 | 0 |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 |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현대로템) | 1986~2013 | 383 | 0 |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 대우중공업(->현대로템) | 1984~2015 | 36 | 0 |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 대우중공업 | 1996~2023 | 131 | 0 |
무궁화호 개조형 디젤 액압 동차 | 세근실업, 우진산전, 로윈 | 2008~2023 | 100 | 0 |
한국철도공사는 과거에 많은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DMU)를 운행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해 처음 도입된 DHC(디젤 유압 차)는 최대 150km/h의 속도를 낼 수 있었으며, 새마을호 열차로 운행되었다.
- '''오스트레일리아'''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DMU)는 20세기 중반 후반, 기관차 견인 서비스 유지가 어려운 한적한 지선에서 사용하기 위해 오스트레일리아에 처음 도입되었다. 오늘날 DMU는 오스트레일리아 남부 주에서 널리 사용된다.
- * 애들레이드 메트로는 교외 노선에 3000 클래스 DMU를 사용한다.
- * 뉴 사우스 웨일스 트레인링크는 시드니에서 캔버라(ACT), 그리피스, 브로큰힐, 아미데일 및 모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에 익스플로러 DMU를 사용한다. 엔데버 DMU는 배서스트, 모스베일 및 굴번을 잇는 사우스 하이랜드 라인, 키아마에서 보마데리까지, 그리고 헌터 라인에서 운행한다. 헌터 동차 DMU도 헌터 라인에서 사용된다.
- * 빅토리아의 V/Line은 모든 중거리 노선에 스프린터 및 V/Locity DMU를 사용한다.
- * 서호주의 트랜스와는 중장거리 지방 노선에서 ''프로스펙터'', ''에이번링크'' 및 ''오스트랄린드''를 운행한다.
- * 퀸즐랜드에서는 유산 DMU가 관광 열차인 ''사바나랜더''와 ''걸프랜더''에 사용된다.
- '''방글라데시'''

중국에서 제조된(CNR 탕산)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2013년 5월 25일부터 방글라데시에서 운행되었다.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는 방글라데시 최초의 통근 열차 서비스로, 치타공-포우즈다르하트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이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는 치타공 순환 철도와 방글라데시 철도의 다카와 나라양간지 간 노선에서도 운행된다.[36]
- '''캄보디아'''

2019년 멕시코 제조업체 페로비아스 델 바히오(Ferrovias Del Bajio)는 캄보디아 왕립 철도에 프놈펜 국제공항에서 시내 중앙역까지 운행하는 공항 셔틀 서비스용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SU, Diesel Single Unit) 3량을 공급했다. 다른 2량은 중앙역에서 시아누크빌과 포이펫까지의 장거리 운행에 배정되었다. 캄보디아 왕립 철도는 현재 일본에서 11량의 DMU 객차를 도입했다.
- * 모델: "키하 183 헤비 스노우"(Kiha 183 heavy snow, キハ183系オホーツク・大雪)
- * 속도: 110km/h (최대)
- * 종류: 특급 (Limited Express)
- * 운행 시작: 1986년, 일본 내 운행 종료: 2023년 3월 17일
- '''인도'''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MU, DEMU)는 인도에서 널리 사용된다. 인도에서 DEMU는 8량 편성 및 4량 편성으로 사용된다. 이 열차는 중간에 WDM-2 또는 WDM-3A 기관차가 있는 (최대 10량) 열차를 대체했다. 이러한 구형 열차는 운전 객차에 기관차 제어 장치가 중복되었고 모든 작동 정보는 얇은 통신 회선을 통해 기관차에 도달했다. 이것은 '푸시풀(push-pull) 열차'라고 불렸다. 이러한 푸시풀 방식의 최장 운행 노선은 디바(Diva) - 비완디 로드(Bhiwandi Road)와 바사이 로드(Vasai Road) 사이에서 운행되었으며, 2018년에 MEMU 열차 서비스로 전환되었다.
인도의 첫 번째이자 가장 큰 DMU 차고는 펀자브 주 잘란다르에 있으며, 펀자브 전역에서 운행되는 90대 이상의 유닛을 보유하고 있다.
- * 1세대 DMU:
- ** 정격 출력은 700 HP이며, 3량 또는 6량으로 구성되었으며, 처음에는 ICF에서 제작되었다.
- ** 변속기는 보이트(Voith) 유압식이었다.
- ** 최고 속도는 100km/h였다.
- * 2세대 DMU:
- ** 정격 출력은 1400 HP이며, 8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 ** 최고 속도는 105km/h이다.
- ** 변속기는 직류 전기 방식이다.
- ** ICF 및 RCF에서 제작되었다.
- * 3세대 DMU:
- ** 정격 출력은 1,600 HP이며, 10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 ** 최고 속도는 110km/h이다.
- ** 변속기는 교류 전기 방식이다.
- ** ICF에서 제작되었다.
- '''인도네시아'''

국영 기업 PT.INKA는 여러 종류의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MU)를 제작하며, 이 중 일부는 도시 및 교외 지역에서 운행된다.
- '''일본'''

일본에서는 1920년대부터 가솔린 구동식 철도 버스(소규모 사철)와 철도차량(국철의 키하니 5000)이 제작되었으며, 1937년에는 최초의 2량 유선형 동력분산식 열차인 키하 43000 (キハ43000계)형이 등장했다.[37]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요했던 연료 공급이 개선된 후, 1950년대에 수백 량(총 수천 량)의 디젤 동차 및 동력분산식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38]
- '''케냐'''
2021년, 케냐는 나이로비 수도권에서 운행할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를 프랑스로부터 도입했다. 이 열차들은 나이로비 시와 나이로비 외곽 정착지,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 및 나이로비 터미널을 연결한다.
- '''말레이시아'''
말레이 철도 공사(KTM)는 서해안선을 위해 CRRC(중국 중차)에서 주문한 총 13개의 KTM 61형(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CRRC의 바투 가자(Batu Gajah) 공장에서 현지 조립되었다. 첫 운행은 9월 1일부터 구형 비자동차량을 대체하여, 게마스-조호 바루 노선에서 시작될 예정이다.[39]
- '''필리핀'''
필리핀 국립 철도(PNR)는 아시아에서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를 처음 도입한 곳 중 하나였다. 처음에는 가솔린 동력의 철도 차량이었지만, 1929년 현지에서 조립된 마닐라 철도 RMC 클래스가 디젤 추진 방식을 사용한 최초의 차량이었다. 일부 차량은 1932년까지 마닐라와 알바이 주 레가스피 사이의 남부 간선에서 일등석 서비스를 위해 스트림라이너 차량으로 개조되기도 했다.[40] 이후, 여러 세대의 DMU가 주로 루손 섬의 PNR에서 단거리 통근 서비스에 사용되었다.[41][42]
현재 도시 간 철도 서비스가 운영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DMU는 여전히 PNR 메트로 통근선(메트로 마닐라)과 비콜 지방의 비콜 통근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다.[43] 현재 사용 중인 세 세대의 DMU는 다음과 같다.
- * 1960년대에 제작되어 2010년대 초에 도입된 동일본 여객철도(JR East)에서 넘겨받은 중고 DMU: KiHa 35, 52 및 59 시리즈[44][45]
- * 대한민국 제조사 현대로템에서 2009년에 제작한 로템 DMUs[46]
- * 인도네시아 회사 인카(PT INKA)에서 제작한 8000 및 8100 클래스[47][48]
2022년부터 PNR은 루손과 민다나오의 향후 도시 간 철도 네트워크를 위해 표준궤 DMU를 구매할 예정이다. 이는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1,067 mm 궤간과 비교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더 나은 기술에 접근하고 선로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중국'''

2014년 1월 14일, 중국중차 창춘 철도차량(CRRC Changchun Railway Vehicles)은 하이브리드 전동차의 생산을 발표했다. 2014년 말, 배터리-전차선 전원 공급(EEMU)과 전차선 전원 공급-내연 기관(DEMU)을 각각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동차의 첫 번째 배치 1편성이 창춘에서 생산되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이 차량들은 후허하오터와 베이징 철도과학원에서 시험 운행되었다.
2022년 9월, 시안-후현 철도에서 사용되는 최초의 CJ-5 열차가 시안에 도착했다. 내연 기관과 배터리 하이브리드를 사용하는 0506 열차는 시안-후현 철도의 초기 운행 동안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운행 기간 동안, 시안 지하철에서 임시 관리할 예정이다.
- '''스리랑카'''
디젤 동력 분산식 열차(DMU)는 1940년 처음으로 스리랑카에 도입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급행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주요 노선의 소규모 철도역과 정차역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었다.[49]
- '''대만'''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DMU)는 현재 주로 타이완 철도청의 화롄-타이둥 선, 북회선, 난후 선에서 운행된다. 타이완의 DMU는 DR급으로 분류된다.
- * DR2700급 – 1966년 도큐차량제조에서 제작; 타이완 서부 간선에서 가장 빠른 열차였다.
- * DR2800급 – 1982년과 1984년에 도큐차량제조에서 제작
- * DR2900급
- * DR3000급
- * DR3100급
- '''태국'''

태국 철도청의 ASR급은 태국 철도청에서 운행하는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이다. 영국 더비 리치처치 레인 공장의 British Rail Engineering Limited에서 제작되었으며, 영국 철도 158형을 기반으로 한다. 1990/91년에 20량의 객차가 제작되었다. 모두 158형과 동일한 Regional Railways 도색으로 칠해졌다.
번호 | 비고 |
---|---|
2501 – 2512 | 운전실 포함 (12량) |
2113 – 2120 | 운전실 없음 (8량) |
5. 내연 동차의 운전 방식
기동차·디젤 기관차의 동력 전달 방식
기동 시부터 저속 및 중속 영역에서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여 총괄 제어를 가능하게 한 변속 방식을 유체식 또는 액압식이라고 한다. 1990년대 이후 다단식 유성 기어 변속기를 전자 제어하여 토크 컨버터와 조합함으로써 넓은 속도 영역에 적응하면서 토크 컨버터에 대한 의존 영역을 줄이는 기법(2단 이후는 토크 컨버터를 거치지 않음)이 보급되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엔진 동력으로 발전하여 발생한 전력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하는 방식은 디젤 전기 방식이다. 대출력에 적합하며 전달 효율 자체는 좋고, 시스템 전체에서는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지만, 보수 점검도 액체식에 비해 용이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주류로 하는 국가가 많다.
전력 전자가 발전하고, 무게 면의 핸디캡을 완화시킨 2000년대 이후에는, 시리즈식 하이브리드 기동차나 EDC 방식의 형태로 부활했다. 2019년 8월부터 니가타・아키타 지구에서 영업 운전을 개시한 GV-E400계[59]에서는, 양산형 순수한 디젤 전기 방식의 전기식 기동차가 약 반세기 만에 부활했다.
JR 홋카이도에서도 키하40계와 교체하기 위한 전기식 기동차를 JR 동일본과 공동으로 개발하여, H100형이 도입되었다[60]。
단두식 기동차는 자동차처럼 원칙적으로 한 방향으로만 운행할 수 없는 기동차를 말한다.[63] 일본차량제작소가 1931년경부터 자사의 카탈로그에서 사용했다.[63] 변속기에는 후진 위치도 있지만, 후진은 입환 시 등 짧은 시간에 한정되며, 통상 종착역에서 어떤 방법으로든 진행 방향을 반대로 할 필요가 있다.[63]
1920년대의 일본에서는 가솔린 엔진, 변속기 등의 양산 자동차용 파워 유닛을 유용하여, 당시 버스에 상당하는 심플한 차체를 갖춘 단두식 기동차가 다수 취역했다.
양쪽 운전대식 기동차는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앞뒤 양방향으로 지장 없이 주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차체 양쪽에 운전대가 있는 차량을 가리킨다[64]。
일본 내연 동차 최초의 양쪽 운전대식 차량은 1927년에 제조된 남월철도가1이며, 매발철공소의 제1작이자 1,067 mm 궤간용으로는 일본 최초의 가솔린 동차이기도 했다[65]。
독일국철은 1932년에 2량 편성 연결 차체의 유선형 전기식 기동차를 개발하여 고속 열차 "플리겐데 함부르거"의 운행을 시작했다.[66][67]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미국의 버드 사가 도입한 RDC (Rail Diesel Car)는 총괄제어가 가능한 액체식 기동차로, 연결 운전이 가능했다.[70] 일본국철에서 1953년부터 양산된 기하45000계 (기하10계)는, 정면 관통형으로 총괄제어가 가능한 액체식 기동차였다.[71]
6. 내연 동차의 전동화
하이브리드 기동차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처럼 엔진으로 발전기와 축전지를 병용하고, 전동기로 주행하는 기동차이다. JR 동일본에서는 일본 최초의 영업용 하이브리드 기동차인 키하E200형을 개발하여 2007년부터 고우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72] 이후, 이 차량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HB-E300계 및 HB-E210계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키하160계도 ITT 도입을 위해 시험 주행이 이루어졌으며, 개발된 기술을 도입한 차량으로 JR홋카이도 키하285계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JR홋카이도 관내에서 불상사가 잇따르자, "현 상황으로는 '안전 대책'과 '신칸센 개업 준비'에 한정된 '인력', '시간', '자금' 등을 우선적으로 투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비용과 유지 보수 양면에서 과대한 사양이라는 점", "속도 향상보다 안전 대책을 우선시할 것", "기존 형식의 차량 형식 통일로 인해 예비차 공통화에 따른 전체 차량 수 억제와 기기 공통화에 따른 유지 보수성 향상이 도모될 것"을 이유로, 시제차 완성 직전인 2014년 9월 10일에 개발 중단이 발표되었다.[73][74]
JR 서일본의 크루즈 트레인 "TWILIGHT EXPRESS 미즈카제"에서 사용되는 87계 침대 기동차와 JR 큐슈의 일반형 기동차 YC1계에서도 직렬 하이브리드 방식이 채용되었으며, JR 도카이도 특급 "히다", "난키"의 현행 차량인 키하85계를 대체하기 위해 직렬 하이브리드 방식의 HC85계를 개발하여 2019년 12월부터 시험 주행차 시험을 거쳐, 2022년 7월에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75]
전기·디젤 양용 차량은 전동기로 구동되지만, 구동용 전원은 발전기에 의한 발전과 외부(가선·제3궤조)로부터의 급전 모두에 대응한다. 간단히 말해 전기식 디젤에 가선 등으로부터 전력을 얻는 회로를 부가한 형태이다. 듀얼 모드 차량, 바이 모드 차량, 중복 동력 장비 차량[76] 등으로도 불린다. 일본에서는 JR 동일본이 2017년5월 1일에 운행을 시작한 크루즈 트레인 "TRAIN SUITE 시키시마"용 E001형이 이에 해당한다.[77][78][79]
축전지・연료 전지 차량은 전원 기구가 일반적인 열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전기 동력차이므로, 정확히는 기동차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비전철 노선에서의 기동차를 대체하는 운용을 상정하거나, 재래형 기동차 및 하이브리드 기동차와의 개발 연구상의 관계에서, 기동차를 해설하는 맥락에서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축전지 용량 향상으로, 전철화 구간과 비전철화 구간을 직통하는 열차로, 비전철화 구간을 주행하는 거리가 비교적 짧고, 보통 열차 정도의 속도인 경우와 같은 특정 조건에서는 전철화 구간에서 완전 충전된 축전지를 전원으로 비전철화 구간을 운행하는 축전지 전동차로의 교체도 가능해지고 있다. JR 동일본에서는 카라스야마선용 EV-E301계나 오가선용 EV-E801계[80]가 도입되었고, JR 큐슈에서도 지쿠호 본선 등에서 축전지 전동차인 BEC819계를 도입하여, 전동차로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7. 특수 용도/설계
일본차량제작소가 1931년경부터 자사의 카탈로그에서 "Single ended car"의 번역어로 사용한 단두식 기동차는,[63] 자동차처럼 원칙적으로 한 방향으로만 운행할 수 없고, 통상 종착역에서 어떤 방법으로든 진행 방향을 반대로 할 필요가 있다.[63]
서독 철도가 1950년대에 증비한 로컬선용 소형 기동차 시넨 오므니버스를[81] 힌트로, 일본에서 소규모 수송용으로 버스 부품을 유용하여 쇼와 20년대부터 30년대에 제조된 키하01계, 남부 종관 철도의 키하101・102 등이 일본에서의 "'''레일 버스'''"의 시조로 여겨진다.
1980년대에는 지방 사철이나 제3섹터 철도, JR 각사향 레일 버스가 개발되었고,[82] 후지 중공업의 "LE-Car・LE-DC" 시리즈, 니가타 트랜시스의 "NDC" 시리즈가 해당되었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 쇠퇴하여 시가라키 고원 철도 열차 충돌 사고의 교훈으로 원래의 철도 차량적인 구조로 회귀하고 있다.
1940년대-1950년대의 쓰루이 촌영 궤도나 야마가 온천 철도에서는 보닛 버스를 개조하여 철륜을 장착한, 문자 그대로의 "레일 버스"를 운행하였다. 1920년대부터 법규상 병용 궤도에 해당하는 노선에서 가솔린카를 운행한 사례는 존재했지만, 본격적인 사례로 삿포로시 교통국은 1958년에 궤도선(노면전차)의 연장 개업 시 전력 설비를 생략하기 위해 '''노면 기동차'''를 도입했고, 1967년에 전철화되면서 대부분 일반 전차로 개조되었다.[83]
독일 노르트하우젠 시전의 "콤비노 듀오"는 시가지에서는 전차, 교외에서는 기동차로 운행하는 전기·디젤 양용 차량이다.[84]
과거에는 차체를 기울여 곡선을 고속으로 통과할 수 있는 차체 경사 차량이 기동차에서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으나, 1989년에 시제차가 제작된 JR 시코쿠 2000계 기동차에 의해 실현되었으며, 이듬해 1990년부터 양산이 시작되었다. "제어식 자연 펜듈럼식 기동차"로, 엔진 2기 탑재에 따른 엔진 토크의 반작용 상쇄 및 스플라인을 대체하는 볼식 신축 기구의 채용[85]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했다. 이후 많은 차체 경사식 기동차가 각 회사에서 영업 투입되어 곡선 구간이 많은 비전철 간선에서의 대폭적인 고속화에 기여하고 있다.
에어 스프링에 의한 차체 경사 장치를 탑재한 차량도 있으며, JR 홋카이도의 삿포로 근교용 키하 201계, 특급 열차용 키하 261계에서 채용되고 있다.[86]
JR 홋카이도는 2002년부터 도로와 철도 궤도 양쪽을 주행할 수 있는 듀얼 모드 비클(DMV)의 개발을 시작했다. JR 홋카이도에서는 DMV의 개발이 중단되었지만, 도쿠시마현카이후군카이요쵸의 아와카이난역과 고치현아키군토요쵸의 카부라역을 잇는 아사토선을 운영하는 아사 해안 철도가 사상 처음으로 DMV의 영업용 차량을 2021년12월 25일부터 운행하고 있다.[88]
8. 운용/성능 특성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동력분산식 철도 차량으로 분류된다. 차량 한 량마다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단독 또는 여러 량의 차량으로 운행된다. 여러 량의 차량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과거에는 동력차 한 량마다 운전수가 탑승하여 각 차량을 조작했지만, 현재는 선두 차량의 운전대에서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총괄 제어 방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직접적인 운전 경비는 동력비나 보수 정비 비용이 전차에 뒤떨어지는 반면, 발전소, 변전소, 가선 등 차량 운행에 필요한 전력 계통의 지상 설비는 불필요하다.[89] 수송량이 적은 노선에서 운용되는 경우, 종합적으로 보면 경제적이고 환경 부하도 적다.
편성으로 기능하는 특급형을 제외하고, 기동차는 대부분 1량 단위로 단독 운전(단행)이 가능하다.
과거 일본국유철도(국철)의 기동차는, 특급형 차량을 제외하고 제어 단수·제어 신호 및 브레이크 시스템이 통일, 혹은 신구 호환화되어, 급행형·통근형을 불문하고, 모든 차량에서 연결·총괄 제어 운전이 가능했다.[90] 그러나, 정비와 차량 운용의 효율화를 추구하여, 호환성을 지나치게 중시한 시스템은 차량 성능의 진화를 속박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JR로의 이행 후에는 그 경향이 약해져, 주행 성능 면에서의 근대화가 진전하게 되었다.
전철화 설비 유무나 변전소 용량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용 면에서도 유연성이 높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동차 운전 면허(갑종 내연차 운전 면허)를 가진 동력차 조종자(운전사, 승무원)가 필요하며, 자동 열차 보호 장치의 호환성 등에서 영업용 기동차가 통상 운행되지 않는 구간에 임시 열차로 입선하는 경우는 적어지고 있다.
그 외에도, 전철화 구간에서도 한산화가 현저한 경우, 보통 열차에는 편성 단위가 커지는 전차가 아닌, 소단위 운용이 가능한 기동차를 인근의 비전철화 노선과의 공통 운용을 통해 대체하는 예도 있다.[91]
차량의 동작 메커니즘상, 기동차는 정전 등의 비상시에도 쉽게 운행 가능하다고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일본 철도의 경우, 실제로는 비전철화 노선에서도 신호, 폐색, ATS, CTC, 역사 내 조명, 건널목 등 다양한 지상 측 설비에 전력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정전 시에는 이러한 지상 측 설비용 예비 전원 계통이나, 정전 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대체 폐색 방식이 확보되지 않으면, 안전 확보를 위해 운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구조상 자력 주행은 가능하지만 보안 설비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운행이 불가능하다.
전동기에 비해 내연 기관의 출력 대 중량비가 작아 성능 면에서 불리한 경향이 있다.
내연 기관 일반의 특징은, 사용 영역에서의 토크 변동이 적고 출력이 회전 속도에 거의 비례하여 올라가며, 고회전 영역에서 최대 출력에 도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여 엔진이 최대 출력을 발휘하는 영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료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거의 임의의 출력 영역에서 부분 부하 운전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대략 어느 속도 영역에서도 연속 가력이 가능해진다. 한편, 내연 기관은 과부하・과회전에 대한 내성이 낮아 설계 최고치를 넘는 범위에서의 사용은 과열이나 소손을 발생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엔진 블로를 초래하므로 불가능하다.
9. 일본 내연 동차의 약사
일본에서는 1920년대부터 소규모 사철을 중심으로 가솔린 구동식 철도 버스와 국철의 키하니 5000이 제작되었다. 1937년에는 최초의 2량 유선형 동력분산식 열차인 키하 43000 (キハ43000계)형이 등장했다.[37]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료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내연 동차의 운행이 일시적으로 쇠퇴했지만, 전쟁 이후 연료 공급이 개선되면서 1950년대에 수백 량(총 수천 량)의 디젤 동차 및 동력분산식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38]
일본의 비전화 철도 노선에서는 1872년(메이지 5년) 철도 창업 이후 오랫동안 증기 기관차가 견인하는 객차 열차가 주력이었다. 운전 경비 절감과 빈도 향상을 위해 "자주식 차량"의 개발이 시도되었고, 1905년에 증기 기관을 탑재한 증기 동차가 등장했지만, 1910년대까지 제한된 수량만 제조되었을 뿐 일반화되지는 않았다.
1921년에는 가솔린 엔진 동력의 "가솔린카"가 영업 운전을 시작, 열차 빈도 증가와 운행 비용 절감의 이점으로 1930년대에는 국철·사철을 통해 널리 보급되었다. 디젤 엔진 동력의 "디젤카"는 1928년에 등장했지만, 엔진 기술의 미성숙으로 전전에는 거의 보급되지 않았다.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 가솔린 부족으로 인해 내연 동차의 신조 및 운행이 어려워졌다. 1940년 니시나리선 열차 탈선 화재 사고로 가솔린카의 화재 위험성이 지적되었다. 전시 체제에 따른 연료 부족으로 1944년 11월, 국철은 가솔린, 알코올로 운전하던 기동차의 운전을 폐지했다.[95]
1950년 이후, 디젤 엔진 기술과 연료 공급이 개선되면서, 전전의 가솔린카를 대신하여 디젤카가 융성하게 되었다. 1953년 액체식 변속기 실용화는 기동차에 의한 장대 편성 조성을 가능하게 하였고, 국철에서의 기동차 보급의 원동력이 되었다.
증기 기관차 견인 열차에 비해 우수한 거주성과 주행 성능을 살려, 기동차에 의한 준급・급행 열차가 등장, 1960년에는 특급 열차도 등장했다. 전후 얼마 동안, 국철선은 주요 간선에서도 전철화율이 낮았기에, 기동차는 전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1970년대까지 5,000량을 넘는 기동차가 증비되었고, 일본국유철도는 세계 최다의 기동차 보유수를 자랑하는 시기도 있었다. 그러나, 주요 간선의 전철화가 진전되면서, 기동차의 지위는 서서히 후퇴한다. 한편, 극단적인 차량 표준화 시책 및 노사 관계의 악화로 인해, 기동차 기술의 발전도 정체되었다. 1980년대 이후, 제3섹터 철도용 경량 기동차의 개발이나 신형 엔진의 등장, 전자 제어식 다단 변속기의 실용화 등의 기술 개량으로 성능은 크게 개선되었지만, 수를 줄여가고 있으며, 운용 노선은 주로 지방의 비전철 아간선과 로컬선으로 한정되게 되었다.
현재, JR 각 회사에서는 아간선·로컬선을 중심으로 운용되며, 비전철 구간은 기동차의 독무대이다.[96] 국철 시대에는 기동차의 짐차・우편차도 존재했지만, JR 이행 후에는, 소수의 사업용 차량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여객차이다. 객차 열차는 이미 정기 운행에서 완전 철수했으며, 이벤트용으로 극히 적게 남아 있을 뿐이다. 기동차에 객차를 연결하여 운전하는 것도 가능하며, 분할 민영화 후에도 홋카이도의 야간 열차에서 운전되었지만, 현재의 여객 열차에서는 동계의 쓰가루 철도의 쓰가루 21형에 의한 임시적인 난로 객차의 견인을 제외하고는 볼 수 없다.[97]
국철 및 JR 각 회사, 일부 제3섹터 철도에서는, 기동차 열차의 열차 번호는 원칙적으로 말단에 D(디젤)가 붙는다. 예외도 있으며, 시가라키 고원 철도에서는 토휴일 운행 열차에 K를,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이세 철도에서는 원맨 운전 열차에는 C를,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에서는 산인 본선 ( 하마사카역 - 이즈모시역・니시이즈모역 간. 단 이즈모신니역 이서 직통의 이즈모시역 - 니시이즈모역 간과 이즈모시역 - 니시이즈모역 간의 구간 운전 열차 제외)・사카이선의 토휴일 다이어의 쾌속 ("돗토리 라이너")・보통 열차에 K(기)를 붙인다.
10. 내연 동차의 체제 변화
과거 일본에서는 대부분의 주요 철도 차량 제조사들이 기동차 제조를 담당했으나, 1960년대 이후 대형 제조사들이 전차 제조에 집중하면서 제조사의 과점화가 진행되었다. 1970년대 이후 일본의 기동차는 대부분 니가타 철공소와 후지 중공업 두 회사에서 제조되었다.[98]
2002년 니가타 철공소가 경영 파탄을 겪고, 후지 중공업도 철도 차량 제조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IHI가 니가타 철공소 해당 부문에 출자하여 니가타 트랜시스가 설립되어 두 회사의 철도 차량 제조 사업 일부를 승계했다. 현재 니가타 트랜시스는 일본 국내 기동차 시장의 약 80%를 점유하고 있다. 일본차량제조는 최근 기동차 제조에 주력하며, 킨키 차량도 2012년 기동차 제조에 재진입했다.[98] 가와사키 중공업도 2010년대에 JR 홋카이도, JR 동일본, JR 시코쿠, JR 큐슈를 위한 기동차(전기식, 하이브리드 포함)를 본격적으로 제조하고 있다.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 자체 기동차 신제 능력을 가진 철도 사업자는 JR 홋카이도(나에보 공장)와 JR 서일본(고토 종합 차량소) 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utting noise and smoothing the ride
http://www.railwayga[...]
2000-08-01
[2]
문서
Stadler Flirt DMU/DEMU example: Elron Elektriraudtee Classes 2200, 2300 and 2400, TEXRail Stadler FLIRT
[3]
서적
An A-Z of Famous Express Trains: An Illustrated Trip Down Memory Lane
https://books.google[...]
David & Charles
2013-01
[4]
웹사이트
LNER Encyclopedia: The LNER Armstrong-Whitworth Diesel–Electric Railcars
http://www.lner.info[...]
2016-06-19
[5]
서적
BR Diary: 1968–1977
Ian Allan
[6]
뉴스
1976: New train speeds into service
http://news.bbc.co.u[...]
BBC News
1976-10-04
[7]
웹사이트
New opportunities for the railways: the privatisation of British Rail
http://www.railwaysa[...]
Railway Archive
2011-02-15
[8]
웹사이트
Class 253 High Speed Train
http://www.railblue.[...]
Railblue.co.uk
2011-02-15
[9]
웹사이트
Class 254 High Speed Train
http://www.railblue.[...]
Railblue.co.uk
2011-02-15
[10]
웹사이트
Great Western Railway calls time on long-distance HSTs
https://www.railmaga[...]
2022-10-08
[11]
웹사이트
Final batch of refurbed Inter7City trains handed over to ScotRail
https://www.railadve[...]
2021-03-13
[12]
간행물
GWR unveils Hitachi iep trainset
http://www.railwayga[...]
2016-06-30
[13]
간행물
Stadler and Bombardier to supply trains for Abellio East Anglia franchise
http://www.railwayga[...]
2016-08-10
[14]
간행물
GWR to lease Class 769 Flex trimode trainsets
http://www.railwayga[...]
2018-04-20
[15]
웹사이트
'They don't make trains like this anymore'
http://www.railtechn[...]
2019-07-18
[16]
웹사이트
West Midlands Trains puts first Class 230 D Train in service
https://www.railway-[...]
2019-04-23
[17]
웹사이트
New North Wales trains will be slower than Arriva ones BUT journey times will fall
https://www.dailypos[...]
2018-09-10
[18]
뉴스
Class 150 units back on the Marston Vale line
https://www.railengi[...]
2023-12-19
[19]
문서
Such as the Railroad Safety Appliance Act of 1893.
[20]
웹사이트
"Kaoham Shuttle" page, Seton Lake Indian Band website (Tsalalh.net)
http://tsalalh.net/s[...]
[21]
웹사이트
Six Commuter Trains Purchased: Travel Easier in San Jose Costa Rica – Costa Rica Star News
http://news.co.cr/si[...]
2012-06-16
[22]
웹사이트
Passenger equipment from Britain, US heads to Mexico
https://www.trains.c[...]
2023-09-05
[23]
간행물
RDC Update
[24]
웹사이트
Diesel Multiple Unit Assessment
https://sccrtc.org/w[...]
2010-09
[25]
뉴스
DCTA gets go-ahead to use Stadler cars
http://www.dentonrc.[...]
2012-06-05
[26]
간행물
TEX Rail commuter line opens
https://www.railwayg[...]
2019-01-10
[27]
웹사이트
TEXRail Map
https://ridetrinitym[...]
2019-04-01
[28]
웹사이트
BART moves forward with $1 billion in extension projects – bart.gov
http://www.bart.gov/[...]
2016-06-19
[29]
웹사이트
BART to Antioch: East Contra Costa BART Extension
https://www.bart.gov[...]
2019-03-27
[30]
웹사이트
July 2006 Metro to Fund Implementation Study on a Regional Connector Through Glendale and Burbank
http://ebb.metro.net[...]
2017-02-01
[31]
웹사이트
Coming Soon page
http://metraconnects[...]
2016-06-19
[32]
웹사이트
BNSF Eastside Commuter Rail Feasibility Study
http://www.psrc.org/[...]
2010-01-21
[33]
웹사이트
Alaska Railroad – Alaskan Tours & Vacations – Train Packages
http://www.alaskarai[...]
2016-06-19
[34]
뉴스
Fairmount line setback: No DMUs says MBTA
https://www.baystate[...]
Bay State Banner
2016-02-10
[35]
웹사이트
Passaic Bergen Hudson Transit Project
https://www.njtransi[...]
NJ Transit
2021-02-26
[36]
웹사이트
DEMU trains begin debut run in Ctg
http://bdnews24.com/[...]
Bdnews24.com
2013-05-26
[37]
웹사이트
キハ43000の資料 – しるねこの微妙な生活/浮気心あれば水心!?
https://web.archive.[...]
2016-06-19
[38]
웹사이트
The Railway Museum in Saitama
https://web.archive.[...]
2016-06-19
[39]
웹사이트
New CRRC DMU on test in Malaysia
https://www.railjour[...]
2019-05-16
[40]
간행물
Report of the General Manager for the Year Ended December 31, 1938
Manila Railroad Company
1939-03-17
[41]
간행물
Motive Power and Rolling Stock
https://www.filipina[...]
De Leuw, Cather and Company; Manila Railroad Company
1952-07
[42]
웹사이트
Corporate Profile
https://web.archive.[...]
Philippine National Railways
2021-04-10
[43]
논문
April 2020
Philippine Railways Historical Society
[44]
서적
国鉄・JR関西圏近郊電車発達史 大阪駅140年の歴史とアーバンネットワークの成立ち
JTBパブリッシング
2014
[45]
웹사이트
フィリピン国鉄 KIHA59「KOGANE」が営業運転に復帰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19-12-10
[46]
웹사이트
Railway Systems-Project Record View
https://web.archive.[...]
2018-12-25
[47]
웹사이트
Two more PNR trainsets arrive in PH
https://ph.news.yaho[...]
2020-02-12
[48]
뉴스
PNR unveils 2 brand new diesel multiple unit trains bought from Indonesia
https://manilastanda[...]
2020-02-03
[49]
문서
https://apps.who.int[...]
[50]
웹사이트
US Railcar
http://www.usrailcar[...]
[51]
문서
[52]
문서
[53]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新潟・秋田地区への新型電気式気動車の投入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東日本
2015-05-19
[60]
웹사이트
JR北海道も電気式気動車導入へ。
http://rail.hobidas.[...]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5-06-11
[61]
보도자료
新型一般気動車の試作車(量産先行車)の製作について
http://www.jrhokkaid[...]
北海道旅客鉄道
2015-06-10
[62]
문서
新型電気式気動車(DEC700)の導入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1-06-25
[63]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64]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65]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66]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67]
문서
解説 ディーゼル車両の変遷- PART 1 -
https://www.rtri.or.[...]
鉄道総合施術研究所
2014-04
[68]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69]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70]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71]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72]
웹사이트
「架線なし」蓄電池電車が世界で増える理由
http://toyokeizai.ne[...]
東洋経済新報社
2017-04-07
[73]
간행물
新型特急車両の開発中止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14-11-28
[74]
뉴스
JR北海道、新型特急車両の開発を中止 - 当面はキハ261系気動車の製作を継続
https://news.mynavi.[...]
2014-11-28
[75]
웹사이트
車両のご案内|JR東海
https://railway.jr-c[...]
2023-11-09
[76]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成山堂書店
[77]
웹사이트
豪華列車、技術も注目 JR東の「四季島」
https://www.nikkei.c[...]
2020-01-03
[78]
간행물
「日本を楽しむあなただけの上質な体験」を感じる旅が始まります。 ~ クルーズトレインの新造について ~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7-02-10
[79]
학술지
新車速報 JR東日本 E001形「TRAIN SUITE四季島」
http://railf.jp/japa[...]
交友社
[80]
뉴스
JR東日本EV-E801系、新型交流蓄電池電車デビューに向け秋田地区で準備開始
http://news.mynavi.j[...]
마이나비
2017-04-07
[81]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82]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83]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84]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85]
문서
[86]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87]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88]
뉴스
阿佐海岸鉄道、線路・道路両用車両を20年までに導入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2-04
[89]
문서
[90]
문서
[91]
문서
[92]
간행물
「持続可能な交通体系のあり方」について(PPT版)
https://web.archive.[...]
北海道旅客鉄道
2017-04-09
[93]
웹사이트
今こそ「ディーゼルエンジン」に注目!環境に悪影響を及ぼす嫌われ者からエコな優等生へ
https://www.zba.jp/c[...]
웹크루
2017-04-07
[94]
문서
[95]
뉴스
[96]
문서
[97]
문서
[98]
뉴스
近畿車両、30年ぶりにディーゼル車両の生産再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2-10
[99]
웹사이트
15.鉄道車両に係る排出量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7-04-07
[100]
웹사이트
クリーンディーゼル
http://tenbou.nies.g[...]
国立環境研究所
2017-04-07
[101]
웹사이트
「環境への負荷の少ない交通」報告書
https://www.env.go.j[...]
環境省
2017-04-07
[102]
웹사이트
我が国の排出ガス規制の概要
https://www.rim-inte[...]
一般社団法人日本陸用内燃機関協会
2018-07-15
[103]
웹사이트
第55回 ~電車の大先輩、気動車さんです!の巻
https://www.rim-inte[...]
リム情報開発
2017-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